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27일에 보건복지부에서 '제2차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이번 제2차 포럼은 지난 7월 2일 개최된 제1차 포럼에 이은 것으로, ‘건강관리서비스 시장동향 및 전망’을 주제로 토론이 이루어졌다.

  특히, 이번 제2차 포럼은 일본ㆍ미국의 ‘건강관리서비스 현황 및 전망’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자리로, 일본 사례 발표를 위해서는 일본 동경대학 의학계연구과 이정수 교수를 특별히 초빙하였고, 미국 사례는 LG경제연구원 윤수영 연구위원이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대학교병원 김석화 교수가 ‘원격 건강관리서비스 현황 및 전망’에 대해서 발표한 뒤 토론으로 이어졌다. 포럼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최희주 건강정책국장은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신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10년 후 국민의료비는 2배, 건보 급여비 지출액은 2.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만성질환의 사전예방과 지속적 관리를 위한 건강관리서비스의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이번 포럼은 선진국의 다양한 건강관리서비스 사례를 통해, 국내 건강관리서비스의 발전방향과 제도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다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본ㆍ미국 등 선진국들은 우리나라보다 먼저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관련 제도나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보다 고령화 속도가 빠른 일본은, 이미 생활습관병*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의 60%, 전체 의료비의 30%를 상회하고, 75세 이상의 노인의료비가 2025년경에는 국민의료비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생활습관병 예방을 통해 국민의료비 증가를 억제하고자 2008년에 ‘특정보건지도’라는 건강관리서비스 제도를 도입하였다.

  미국의 경우에는, 대기업 및 민간보험사가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자사의 근로자ㆍ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건강관리서비스가 하나의 서비스 산업으로 분화ㆍ발달해 나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헬스케어 시장은 2006년 9.7억 달러에서 2010년 57억 달러, 2015년에는 336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작권자 © 경기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